출연연 지역조직 공동장비 활용 활성화 전략에 관한 연구 : KIST 전북 복합소재기술연구소 공동장비 활용 수요조사 및 장비라이센스 제도 도입 사례 등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선준-
dc.date.accessioned2025-05-09T19:30:00Z-
dc.date.available2025-05-09T19:30:00Z-
dc.date.issued2025-04-30-
dc.identifier.citation강선준. (2025). 출연연 지역조직 공동장비 활용 활성화 전략에 관한 연구 : KIST 전북 복합소재기술연구소 공동장비 활용 수요조사 및 장비라이센스 제도 도입 사례 등을 중심으로 . 전북학연구, 14, 1-22.-
dc.identifier.issn2713-5772-
dc.identifier.otherJJS1401-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145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지역조직이 보유한 첨단 연구장비를 지역 산업과 효과적으로 연계·활용함으로써, 지역혁신의 조정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KIST 전북 복합소재기술연구소를 사례로 하여, 2020년 장비 활용 수요조사를 기반으로 한 공동장비 활용 실태 및 개선 수요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정책적·제도적 대응 전략을 제시하였다. 조사는 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약 2,000개 기업 중 258개 회사를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이 중 92개 회사를 표본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 기업의 다수는 KIST 전북 연구소 장비를 제품 개발 및 시험·분석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장비 활용 애로사항으로는 ‘지리적 거리’, ‘대기 시간’, ‘이용 절차의 복잡성’ 등이 주요하게 나타났다. 이에 대응하여 연구소는 장비 할인제도 개편, 교육 프로그램 확대, 라이센스 자격제도 도입 등을 통해 실질적 활용률 제고를 유도하였다. 특히 ‘장비활용 라이센스 프로그램’을 통해 일정 교육 및 시험을 이수한 외부 사용자가 직접 장비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장비 이용료 최대 70% 할인 등 실질적 인센티브를 부여함으로써, 장비 활용률 증진과 분석료 수입 실적을 4배 이상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결론적으로 KIST 전북 연구소의 사례는 장비 수요조사, 신할인제도, 교육 및 라 이센스 운영을 아우르는 통합형 지역기업 지원모델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학연협력 플랫폼(UNI-CORE)’과 같은 국가사업에 접목 가능한 선도모델로서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출연연 지역조직이 공동장비 활용을 통해 지역혁신의 실질적 조정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입증한 실증적 사례로, 향후 국가균형발전 전략 수립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초록 1. 서론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 KIST 전북 연구소 공동장비 활용 사례 조사 개요 4. KIST 전북 연구소 공동장비 활용 조사 결과 5. KIST 전북 연구소 공동장비 활용 조사 이후 개선정책 6. 결론 참고문헌-
dc.publisher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dc.relation.ispartofseries전북학연구; 제14집-
dc.rightsBY_NC_ND-
dc.title출연연 지역조직 공동장비 활용 활성화 전략에 관한 연구 : KIST 전북 복합소재기술연구소 공동장비 활용 수요조사 및 장비라이센스 제도 도입 사례 등을 중심으로-
dc.typeArticle-
dc.subject.keyword학연협력 플랫폼-
dc.subject.keyword지역혁신-
dc.subject.keyword공동장비 활용-
dc.subject.keyword장비 라이센스 제도-
Appears in Collections:
전북학연구센터 > 전북학연구
Files in This Item:
JJS1401_출연연 지역조직 공동장비 활용 활성화 전략에 관한 연구_강선준.pdfDownload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