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단위 사회적 농업 지원체계의 필요성 및 과제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조원지 | - |
dc.contributor.other | 황영모 | - |
dc.date.accessioned | 2022-09-01T05:27:31Z | - |
dc.date.available | 2022-09-01T05:27:31Z | - |
dc.date.issued | 2022-09-01 | - |
dc.identifier.issn | 2508-688X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856 | - |
dc.description.abstract | 지난 6월 전라북도가 '농촌 경제·사회서비스 활성화 지원센터' 조성사업에 선정되면서 사회적 농업을 통해 농촌 취약계층(노인, 아동, 장애인 등)의 사회안전망을 강화할 수 있을 거라는 사회적 기대가 커지고 있다. 전라북도는 전국 105개 사회적 농장 중 가장 많은 사회적 농장(15개소)이 있는 지역으로, '지원센터' 설립을 통해 사회적 농업의 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다. 전라북도에 설립될 '지원센터'는 국가 차원에서 사회적 농장주의 전문적인 교육과 농장 운영 지원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회적농업이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의 사회적 농업 정책 성과와 실천체계를 살펴보고, 국가단위 사회적 농업 지원체계의 방향을 제안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서론 2. 우리나라 사회적 농업의 정책성과와 실행체계 3. 사회적 농업 국가 단위 지원체계 사례 (네덜란드) 4. 사회적 농업 국가 지원체계 구축 과제 | - |
dc.publisher | 전북연구원 | ko_KR |
dc.relation.ispartofseries | 이슈브리핑;268 | - |
dc.title | 국가단위 사회적 농업 지원체계의 필요성 및 과제 | ko_KR |
dc.title.alternative | The Necessity and Challenges of Social Farming Support System at a National Level | - |
dc.type | Article | ko_KR |
dc.subject.keyword | 사회적농업 | - |
dc.subject.keyword | 사회서비스 | - |
dc.subject.keyword | 농촌사회 | - |
dc.subject.keyword | 사회적농장 | - |
dc.subject.keyword | 다기능농업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