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포대첩(鎭浦大捷)과 지역문화 콘텐츠 활성화 방향

Title
진포대첩(鎭浦大捷)과 지역문화 콘텐츠 활성화 방향
연구책임자
이남희
키워드
진포, 진포대첩, 금강, 지역문화, 디지털 뮤지엄, 아카이브, 종합정보 연구센터
Issue Date
2025-04-30
Publisher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Citation
이남희. (2025). 진포대첩(鎭浦大捷)과 지역문화 콘텐츠 활성화 방향. 전북학연구, 14, 195-218.
Series/Report no.
전북학연구; 제14집
Abstract
진포대첩은 고려말 오백 선단의 왜구가 진포 지역에 침입하여 조창의 세곡을 탈취하려던 것을 크게 물리친 해전이다. 그 시대 동아시아 국제질서 재편기를 보여주는 국제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진포가 어디인가 하는 위치 문제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나와 있다. 진포대첩과 관련해서 군산, 서천, 익산지역에 여러 형태의 기념물을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진포대첩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지리적 논점에 머무르고 있는 상황에서 벗어나 지정학적 관점과 지역 간 협력을 강조하고 나아가 지역문화 콘텐츠 활성화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진포대첩을 통해서 지역으로서 진포의 지정학에 접근해 보면, 진포는 금강 내륙 수로의 하류 지역에 해당한다. 오늘날의 어느 한 행정구역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었다. 진포대첩의 역사 현장은 지역문화 콘텐츠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같이 아우르는 형태로 진행되는 것이 좋으며, 디지털 뮤지엄 및 디지털 지역학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작업 역시 요청된다. 그런 작업을 위해서 ‘진포대첩 종합정보 연구센터’를 설립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진포와 진포대첩
3. 진포대첩과 지역문화 콘텐츠
4. 맺음말
참고문헌
URI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1459
ISSN
2713-5772
Appears in Collections:
전북학연구센터 > 전북학연구
Files in This Item:
JJS1407_진포대첩(鎭浦大捷)과 지역문화 콘텐츠 활성화 방향_이남희.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