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의 배경
○ 동부산악권 6개 시·군은 모두 지방소멸 위험 지역으로 노년층 증가와 청년층 감소에 대응하는 적극적 인구유입 대책 필요함
○ 동부산악권의 청년은 2011년 7.5만 명에서 2013년 4.4만 명으로 그 비중이 33.1%에서 22.4%로 하락하였으며 노인 인구는 2011년 5.7만 명(25.3%)에서 2013년 7.0만 명(35.5%)로 증가하여 초고령 사회로 진입함. 2017년에는 노인 구성원이 청년 인구를 추월하기 시작함
○ 국내외에서 공원, 정원 등 자연공간을 활용하여 체류인구를 유입하고, 지역사회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음
○ 동부산악권 생태관광지와 조성 예정인 삼천리길, 주변의 생태·환경 및 역사·문화 등 연계자산을 활용한 체류형 생태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연구목적
○ 동부산악권 생태관광 자원과 삼천리길, 주변의 생태·환경 및 역사·문화 등 연계자산을 활용한 체류형 생태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시, 전북자치도 생태경제 창출에 기여하고자 함
목차
제1장 연구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 및 주요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
4. 연구 기대효과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사례 분석
1. 체류형 생태관광 이론적 검토
2. 체류형 생태관광 사례 분석
제3장 동부산악권 체류형 생태관광 여건 분석
1. 동부산악권 생태관광 자원 활용성 분석
2. 전북 생태관광 설문조사 및 인식조사
3. 생태관광 업무 담당자 심층 인터뷰
4. 종합분석 및 시사점 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