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문화유산활용 문화융합상품 개발방안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동영 | - |
dc.contributor.other | 복혜리 | - |
dc.date.accessioned | 2023-11-28T05:41:09Z | - |
dc.date.available | 2023-11-28T05:41:09Z | - |
dc.date.issued | 2023-10-31 | - |
dc.identifier.isbn | 978-89-6612-494-7 (PDF) | - |
dc.identifier.other | 23JU12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1222 | - |
dc.description.abstract | ● 연구필요성 ○ 문화유산활용사업은 기존 문화유산의 보존을 위한 제한적 활용에서 체험, 문화적 재생, 상품개발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고 있고 적극적인 문화유산활용을 통한 지역문화진흥과 지역경제활성화 등으로 확산 중임 ○ 전라북도는 마한의 시작이자 백제와 후백제의 왕도이며 조선왕조의 발상지로서 조선태조어진 외 국보 9점을 포함해 1,010점의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는 문화유산의 보고로 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융합상품개발의 최적지임 ● 연구 목적 ○ 전라북도 문화유산활용 문화융합상품개발은 문화유산의 보존과 홍보, 문화융합을 통한 창의적 상품개발,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문화교류와 관광활성화 등의 측면에서 의미가 있음 ○ 전라북도 문화유산활용 문화융합상품개발연구를 통해 전통과 현대가 조화로운 창의적인 상품을 개발하고, 문화유산의 보존과 홍보, 지역 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문화 교류와 관광 활성화 등의 다양한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방안 제시함 | ko_K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연구 개요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제2장 문화유산활용 현황 1. 전라북도 문화재현황 2. 제도 및 정부정책 3. 선행연구 검토 제3장 문화유산활용 문화융합상품 사례연구 1. 국내사례분석 2. 전라북도 사례분석 3. 시사점 제4장 문화유산활용 문화융합상품 개발방안 1. 단계별 추진전략 2. 유형별 상품개발방안 제5장 결론 1. 요약 2. 제언 참고문헌 영문요약 (Summary) 부록 | - |
dc.publisher | 전북연구원 | ko_KR |
dc.relation.ispartofseries | 정책연구;2023-PR-23 | - |
dc.title | 전라북도 문화유산활용 문화융합상품 개발방안 연구 | ko_KR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vergence Products Utilizing Cultural Heritage in Jellabuk-Do | ko_KR |
dc.type | Book | ko_KR |
dc.subject.keyword | 문화유산 | ko_KR |
dc.subject.keyword | 문화재 | ko_KR |
dc.subject.keyword | 문화융합 | ko_KR |
dc.subject.keyword | 문화상품 | ko_KR |
dc.subject.keyword | 문화산업 | ko_KR |
dc.subject.keyword | 문화자원 | ko_KR |
dc.subject.keyword | 관광상품 | ko_KR |
dc.subject.keyword | 예술공예 | ko_KR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